2021.03.03by 이수민 기자
네트워킹, AI 분석, 금융거래에 이르기까지 오늘날 가장 까다롭고 복잡한 애플리케이션들은 짧은 지연과 실시간 성능을 요구한다. 그러나 이러한 수준의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과 하드웨어 개발 기간이 수반된다. 자일링스는 온라인 간담회를 열고 최신 데이터센터 요구사항에 대응하는 알베오 SN1000 SmartNIC 제품군, 스마트 월드 AI 비디오 분석 플랫폼, 가속 알고리즘 트레이딩(AAT) 레퍼런스 디자인, 자일링스 앱스토어를 발표했다.
2021.03.03by 이수민 기자
마우저가 피닉스컨택트의 싱글 페어 이더넷(SPE) 커넥터를 공급한다. 피닉스컨택트 SPE 커넥터는 PoDL을 통한 단일 전선 쌍으로 이더넷을 통해 데이터 및 전원을 병렬로 전송하는 고성능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2021.03.03by 강정규 기자
LG이노텍이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시스템과 내부 스마트 기기 및 외부 공유기를 연결하는 차량용 와이파이6E 모듈을 개발했다. 6GHz 고주파 대역을 사용하며, 데이터 전송 속도는 1.2Gbps, 네트워크 접속 시간은 2ms다. 와이파이5 모듈 대비 각각 3배, 1/7 수준이다.
2021.03.02by 이수민 기자
사회적 거리두기 확산에 따라 기존처럼 행동하는 것에 제약이 따르면서 과거만큼의, 혹은 과거 이상의 사업 효율을 끌어내기 위한 업무처리 방식의 혁신이 요구되고 있다. 정부는 디지털 전환을 이끌기 위한 10대 과제 중 하나로 디지털 트윈을 꼽았다. 등장 초기 디지털 트윈은 제조업 혁신의 수단으로 주목받았으나 싱가포르 정부가 도시 운영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회 필수 인프라와 도시 정보를 데이터로 수치화하는 버추얼 싱가포르 플랫폼을 공개한 후부터 산업뿐만 아니라 인간 생활 전체 영역에 긍정적인 변화를 불러오는 아이디어로 자리 잡았다.
2021.03.02by 이수민 기자
IBM 기업 가치 연구소가 기업들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와 멀티클라우드 활용 현황, 그리고 멀티클라우드 관리 방식을 분석한 보고서를 통해 하이브리드 멀티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하는 기업이 단일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한 기업보다 2.5배 더 큰 가치를 실현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1.02.28by 이수민 기자
온로봇이 패키징과 팔레타이징 작업에 효과적인 VGP20 전기 진공 그리퍼를 출시했다. VGP20 그리퍼는 모든 로봇 브랜드와 호환되며, 가반 하중이 20kg이다. 압축 공기가 필요한 기존 공압 그리퍼보다 사용하기 간편하며, 유지관리 비용도 최대 90% 낮다. 내장된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정밀 기류 제어가 가능하여, 사용자는 용도에 맞게 그립 유형을 소프트 및 하드로 변경할 수 있다.
2021.02.26by 이수민 기자
KAIST 신소재공학과 강정구 교수 연구팀이 물에서 작동하며 급속충전 가능한 하이브리드 전지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전도성이 금속 산화물보다 100배 높은 다가의 금속 황화물을 수계 배터리의 양극, 음극의 전극으로 활용해 고용량, 고출력 성능을 구현했다. 현재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안전성, 경제성 등에서 우수해, 급속충전이 필요한 휴대기기와 안전이 중요시되는 상황에서의 배터리 사용 등에 적합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1.02.26by 이수민 기자
NXP가 포트 사와 협력하여 CC-Link IE TSN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산업 자동화용 TSN 솔루션을 발표했다. NXP는 LS1028A 산업용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i.MX RT1170 크로스오버 MCU에 CC-Link IE TSN Layer-2 스택을 구현했고, 포트는 두 칩에 CC-Link IE TSN 프로토콜을 통합할 수 있도록 CC-Link IE TSN 마스터 스테이션 스택과 원격 스테이션 스택, 원격 스택 구성을 위한 ICC 툴을 제공한다.
2021.02.25by 명세환 기자
LG유플러스가 인천 남동국가산업단지에 스마트 에너지플랫폼을 구축한다. 그 첫 단계로 산업단지 공장 에너지 관리시스템(CEMS)을 구축하고 운영할 계획이다. CEMS는 입주 기업에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공장 에너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입주 기업은 서버 등 별도의 물리적인 IT 인프라를 소유하지 않더라도 에너지 관리에 필요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