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2.17by 이수민 기자
전력 소비가 날로 증가함에 따라 전기세와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전력 측정 솔루션이 주목받고 있다. 기기와 설비가 얼마만큼의 전력을 소비하고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해당 제품을 사용하는 개인과 기관의 재무 관리에 도움 된다. 또한, 전력 소비량만 산출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다양한 전력 관련 수치를 모니터링하여 제품의 고장을 미리 파악할 수도 있다.
2021.02.17by 이수민 기자
모싸가 Modbus RTU/ASCII/TCP를 BACnet/IP 프로토콜로 변환할 수 있는 산업용 Modbus-BACnet 프로토콜 게이트웨이, ‘MGate 5217 시리즈’를 출시했다. MGate 5217 프로토콜 게이트웨이는 IEC 62443 표준을 기반으로 연결 보안을 강화했다. 혹독한 조건에서 지속적인 동작이 가능하며, 사용이 편리한 툴을 통해 쉽게 장치를 구성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021.02.17by 이수민 기자
산업 현장에서 압력, 온도, 유량 같은 공정 파라미터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액추에이터 제어가 필요하다. PLC, DCS 같은 정밀 아날로그 출력 모듈을 사용하면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전압 및 전류 출력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아날로그 출력 모듈은 열악한 산업 환경에서 견딜 수 있고, 신뢰할 수준의 정밀한 출력을 제공해야 한다.
2021.02.16by 강정규 기자
마이크로칩이 이더넷 AVB를 위한, 하드웨어 기반 오디오 엔드포인트 솔루션 프로토콜을 내장한, 단일 칩 이더넷 컨트롤러인 LAN9360을 출시했다. 신규 컨트롤러는 이더넷 AVB와 I2S, TDM, PDM 등의 로컬 오디오 인터페이스 간의 오디오를 연결한다. gPTP, 타임스탬핑, 전송 프로토콜 및 HDCP를 이용한 콘텐츠 보호 등 이더넷 AVB를 통한 오디오 전송도 지원한다. 이더넷을 통한 보안 부팅, 보안 원격 업데이트 역시 지원한다.
2021.02.16by 이수민 기자
힐셔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공장 및 공정 제어 시스템과 조립, 패키징, 로보틱스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모터 제어 기능을 갖춘 펌웨어 구성 통신 솔루션인 넷모션을 출시했다. 개발자는 넷모션을 통해 실시간 이더넷 연결과 범용 모터 및 모션 제어 기능을 단일 칩 솔루션으로 구현할 수 있다.
2021.02.16by 이수민 기자
대용량 리튬이온 배터리 개발의 난제인 전극 소재의 불안정성을 해결하는 배터리 전해액 첨가제를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최남순, 곽상규 교수, 화학과 홍성유 교수로 구성된 연구팀이 개발했다. 개발된 첨가제 2종은 실리콘 기반 음극의 부피 팽창에 의한 열화를 막고, 불산 제거를 통해 니켈 리치 양극으로부터 니켈의 용출 되는 현상을 억제해 배터리 수명을 늘린다.
2021.02.16by 이수민 기자
3D 스캐너는 제품 개발과 설계, 역설계, 품질 관리 및 보증 유지보수, 수리 및 정비, 비파괴 검사, 과학, 역사, 의료 등의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이때 3D 스캐너와 함께 3D 측정 및 편집 소프트웨어가 활용된다. 크레아폼의 VXmodel 및 VXinspect 메쉬 측정 및 편집 모듈이 대표적이다.
2021.02.15by 이수민 기자
5G는 이론상 20Gbps에 달하는 속도, 1ms에 불과한 지연 시간, 100만 개에 이르는 장치 간의 연결을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이에 실시간 정밀 제어가 필요한 다양한 산업에서의 활용이 기대됐으나, 상용화 2주년이 가까운 현시점에도 구체적인 5G B2B 사례는 나오지 않고 있다. 5G 역량과 권한을 보유한 이동통신 기업(MNO)이 다양한 기관과 기업에 최적화된 5G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사설 5G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2021.02.15by 이수민 기자
LG유플러스가 VM웨어와 함께 소프트웨어를 통한 실시간 품질 관리 및 클라우드 접속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기업전용 U+ SD-WAN 솔루션을 출시했다. 기업고객은 기존 업무통신망을 바꾸지 않고 U+ SD-WAN으로 회선 서비스 품질을 올리는 동시에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