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e4ds Tech Day
  • [인터뷰] 무선 BMS, 어떻게 EV 주행 거리 늘리나?

    2021.02.12by 이수민 기자

    많은 소비자가 내연기관차 대비 짧은 최대 주행 거리로 인해 전기차 구매를 망설이고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은 전기차의 효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부품이다. 현재 널리 활용되는 유선 BMS 솔루션을 무선으로 대체할 수 있다면, 떠오르는 전기차 산업에서 늘어난 주행 거리를 통해 우위를 점할 수 있다.

  • 유나이티드SiC, 온저항 낮춘 750V SiC FET 4종 출시

    2021.02.12by 강정규 기자

    유나이티드SiC가 4세대 SiC FET 기술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750V SiC FET 4종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18mΩ 및 60mΩ 옵션으로 이용이 가능한 SiC FET 신제품 4종은 단위 면적당 온저항 감소와 낮은 고유 커패시턴스로 높은 FoM을 제공한다.

  • 재편되는 스마트폰 시장 "중저가, 5G 시장 잡아라"

    2021.02.08by 이수민 기자

    새해 벽두부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LG전자의 스마트폰 사업 철수 가닥, 미국 제재에 따른 화웨이 리스크 확대, 오포-비보-리얼미 등 BBK 계열 중국 업체들의 약진, 삼성전자와 애플 간의 5G 스마트폰 경쟁 등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 자일링스-후지쯔, 美 6GHz 5G 인프라 구축 협력한다

    2021.02.08by 이수민 기자

    자일링스가 후지쯔의 5G O-RU에 울트라스케일+ FPGA 기술을 제공한다. 후지쯔 O-RU는 미국 최초의 O-RAN 호환 5G 그린필드(6GHz 비면허 대역) 네트워크에 구축될 예정이다. 현재 후지쯔는 추가 현장 구축에 대비하여 자일링스 RFSoC 기술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 [인터뷰] 애플, 컴퓨터 산업계 Arm 혁명 도화선 당겼다

    2021.02.08by 이수민 기자

    애플은 지난해 12월, 첫 Arm 코어 기반 맥 전용 SoC, M1 칩을 공개했다. Arm은 저전력, x86은 고성능이라는 전제를 무너뜨린 애플은 향후 2년간 모든 자사 컴퓨터를 Arm 아키텍처 기반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이에 CPU 시장 양대 축인 인텔과 AMD, 스마트폰 AP 기술 경쟁자 퀄컴, 그리고 애플에 뒤쳐지지 않는 SW 및 HW 역량을 지는 MS의 발걸음이 가빠지고 있다.

  • ADI, IEPE 센서 호환 CbM 개발 플랫폼 'CN0549' 공개

    2021.02.06by 강정규 기자

    ADI가 상태 모니터링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의 개발을 가속하도록 고안한 새로운 상태 기반 모니터링(CbM) 개발 플랫폼, ‘CN0549’을 발표했다. CN0549를 활용하면 실시간 진동 데이터 처리가 가능해 예방 정비 서비스를 위한 머신러닝 알고리즘 개발 속도를 높일 수 있다.

  • 도시바, 산업 장비용 100V DIP4 고전류 광계전기 양산

    2021.02.06by 강정규 기자

    도시바가 TLP241B 고전류 광계전기의 샘플 출하와 양산에 돌입했다. 신제품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I/O 인터페이스 등의 산업 장비, 냉난방 공조 설비, 온도 조절 장치 등의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 적합하다.

  • 로옴, 고음질 오디오 기기용 32bit 'DAC 칩' 공급 시작

    2021.02.06by 이수민 기자

    로옴이 고해상도 음원을 재생하는 고음질 오디오 기기용 'BD34301EKV' 32bit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IC와 'BD34301EKV-EVK-001' 평가 보드의 일반 판매를 개시했다. 새로운 DAC 칩은 커스텀 가능한 내장 FIR 필터가 탑재돼 제조사만의 음질 튜닝이 가능하다.

  • "정전기로 에너지 얻는다" 생기원, TENG 증폭기 개발

    2021.02.05by 이수민 기자

    일상 속 마찰전기의 원리를 활용하면, 외부 전원 없이 고전압 플라스마도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선 마찰대전 나노발전기(TENG)라는 별도의 에너지 변환 장치가 필요하다. 생기원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성균관대학교와 함께 TENG의 전극 구조를 마이크로 톱니 형태로 만들고, 그 전극의 방전 특성을 이용해 마찰전기 출력을 극대화하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