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세 전류 측정 'ADI 광검출기 수신기' 공급하는 마우저

    2021.02.05by 강정규 기자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아나로그디바이스의 ADA4355 광검출기 수신기 마이크로모듈을 공급한다. 최대 75%까지 보드 공간을 절약하는 초소형 패키지로 제공되는 ADA4355는 다양한 범용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획득 솔루션 실현에 필요한 모든 능동 및 수동 부품뿐만 아니라 통신, 계측, 항공 우주 및 국방에 대한 특정 사용 사례를 포함하고 있다.

  • 마이크로칩, TSN IEEE 표준 이더넷 스위치 제품군 선봬

    2021.02.05by 이수민 기자

    마이크로칩이 주요 TSN IEEE 표준을 지원하는 SparX-5i 이더넷 스위치 제품군을 출시했다. 다양한 표준을 단일 칩으로 제공하여 대기 시간이 짧아 우선순위가 높은 트래픽의 종단 간 전송을 보장한다. 또한, 최대 200G의 대역폭의 표준 L2/L3 이더넷을 지원한다.

  • 전 세계 웨이퍼 출하량 '코로나19 뚫고' 역대 2위 기록

    2021.02.04by 이수민 기자

    SEMI가 2020년 전 세계 반도체 실리콘 웨이퍼 매출액이 111.7억 달러로 2019년과 비슷했으나, 출하량은 12,407제곱인치로 전년 대비 약 5% 늘었다고 밝혔다. 실리콘 웨이퍼는 반도체 제작의 핵심 소재로, 모든 전자제품의 필수적 요소다. 정밀 가공된 실리콘 디스크는 반도체 회로 기판 소재로, 1인치에서 12인치에 이르는 다양한 지름으로 생산된다.

  • 맥심, ASIL-D 충족 14채널 배터리 모니터링 IC 출시

    2021.02.04by 강정규 기자

    맥심 인터그레이티드가 ASIL-D 등급의 14채널 고전압 배터리 데이터 수집 시스템 MAX17852를 출시했다. 실온에서 ±0.45mV의 일반 셀 전압 측정이 가능하며 최대 오차범위는 5~40℃도 범위에서 ±2mV다. 다양한 차량 내부에 탑재할 수 있도록 설계돼 스마트 정션박스, 48V 전기 시스템, 400V 충전 시스템 등에 적합하다.

  • 에이디링크, 에지 딥 러닝 가속하는 DLAP 시리즈 공개

    2021.02.03by 이수민 기자

    에이디링크가 GPU 기반 딥 러닝 가속 플랫폼인 DLAP x86 시리즈를 출시했다. DLAP x86 시리즈는 데이터가 생기고 액션이 취해지는 에지에서 컴퓨팅 집약적이고 메모리가 많이 소모되는 AI 추론 및 딥 러닝 작업을 가속하여 다양한 산업 애플리케이션에 AI 성능을 제공하도록 최적화되어 있다.

  • 폴리, 올해 주목할 6가지 업무 환경 기술 동향 발표

    2021.02.03by 이수민 기자

    지난해는 코로나19 팬데믹 여파로 수많은 직장인이 재택근무에 들어갈 수밖에 없었던 변화의 해였다. 올해에도 기업들은 새로운 업무 방식을 개발하고, 지속적인 변화를 추진할 전망이다. 오디오/비디오 솔루션 기업 폴리는 올해 주목할 업무 환경 기술 동향 6가지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올해에는 더 많은 기업이 하이브리드 근무 형태를 채택할 것이며, 사무실, 집 또는 어떤 장소에서나 더 일관된 업무 환경을 제공하는데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 마우저, 마이크로칩 LoRa Sub-GHz 모듈 공급 나서

    2021.02.02by 강정규 기자

    마우저가 마이크로칩의 WLR089U0 LoRa Sub-GHz 모듈을 공급한다. 790nA의 저전력 절전 전류를 제공하는 해당 모듈은 IoT, 스마트 시티 솔루션 등의 배터리 전원 공급식 원격 센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해당 제품은 LoRa 및 FSK 변조를 지원하는 고집적 SAM R34 제품군 IC를 기반으로 하며, 32비트 Arm Cortex-M0+ 프로세서와 256KB 플래시 및 40kb SRAM을 포함한다.

  • 인피니언, 24V 듀얼채널 하측 게이트 드라이버 공개

    2021.02.02by 강정규 기자

    인피니언이 열 패드를 통합한 24V 듀얼채널 하측 비반전 게이트 드라이버를 출시했다. 신제품은 역률 개선, 동기 정류 등 높은 스위칭 주파수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병렬 MOSFET 애플리케이션 및 고전류 IGBT 모듈용 트랜스포머 드라이버나 버퍼 드라이버에 적합하다.

  • "목마른 사슴이 우물 찾도록" 5G '28GHz' 특화망 구축 주체 확대된다

    2021.02.01by 이수민 기자

    5G+ 전략위원회가 국내 5G 특화망 정책 방안을 확정했다. 현재 국내에선 이통 3사만 5G 특화망 운용이 가능하다. 위원회는 현행 정책이 5G 특화망 투자 위축 및 지연, 글로벌 5G B2B 시장 선점 실패 등을 야기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이번 방안을 제안했다. 과기정통부는 해당 방안을 수용하여 5G 특화망 구축 주체를 이통 3사가 아닌 지역 5G 사업자로 확대키로 했다. 5G 특화망을 위한 주파수로는 600MHz 폭의 28GHz 대역이 제공된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