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BM, 뉴칼라 육성 위한 ‘무료 오픈 교육 플랫폼’ 발표

    2020.10.28by 강정규 기자

    IBM이 디지털 뉴딜에 맞춤화된 뉴칼라 인재 양성을 위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교육 플랫폼 ‘오픈 P-테크(Open P-TECH)’ 한국 서비스를 시작한다. 현재 이용 가능한 오픈 P-테크는 기존 공교육 모델인 P-테크를 이용해 학생과 교사 대상에서 일반인으로 무료 확장한 모델이다. 사이버 보안, AI, 클라우드 컴퓨팅 등 4차 산업혁명 시대 혁신 기술에 대한 기본 지식은 물론, 전문 프레젠테이션 스킬 등 전문 역량을 갖춘 미래 인재가 되고자 하는 누구든 가입하여 무료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 슈나이더 일렉트릭, 새로운 'EOCR’ 출시

    2020.10.28by 김동우 기자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전자식 모터보호계전기(EOCR: 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신제품 2종 ‘EOCR PFZ’과 ‘EOCRSS-400U’를 출시했다. 이번에 새롭게 출시하는 제품은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실시간 통신을 지원하고, 온도 ·습도 센서 및 아날로그 출력이 내장되어 고객의 다양한 요구 환경에 대한 적용 및 상태 감시가 가능하다.

  • ETRI, 밀리미터파 대역 5G 스몰셀 SW 국산화 성공

    2020.10.28by 이수민 기자

    ETRI가 5G 통신 음영지역이나 인구 밀집 지역 등에서 전송용량과 체감 통신 속도를 향상하는 28GHz 대역 지원 5G 스몰셀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이 외산 소프트웨어가 아닌 국산 소프트웨어를 5G 스몰셀 통신장비에 적용하여 상용화할 길이 열린 것이다.

  • U+, 로보월드에서 5G 무인지게차와 물류로봇 선보인다

    2020.10.28by 김동우 기자

    LG유플러스는 10월 28일부터 31일까지 일산 킨텍에서 개최되는 ‘2020 로보월드’ 전시회에 참가해 물류로봇과 무인지게차를 선보인다. 글로벌 지게차 전문 업체 클라크, 물류 자동화 업체 케이엔, AI기반 물류 솔루션 업체 무샤이니 등 주요 파트너사와 5G 통신 기반의 무인지게차?물류 로봇 등 다양한 산업용 솔루션을 처음으로 선보인다.

  • 센서의 미래, 지능형 센서 "스마트 IT 융합 서비스의 핵심 부품"

    2020.10.27by 이수민 기자

    데이터의 가치가 높아지며 물리량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의 수요가 늘고 있다. 하지만 센서가 많아지면 광대역 통신이 필요해 AP의 전력 소모를 늘리는 단점이 있다. 반면 지능형 센서는 중앙처리장치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동일 성능의 프로세서로도 가용센서 수와 종류를 늘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스마트 IT 융합 서비스에 적용될 핵심 부품으로 부상하고 있다.

  • ACM, 반도체 후공정 업체 위한 ‘WLP 제품군’ 발표

    2020.10.27by 강정규 기자

    ACM은 반도체 후공정(OSAT)업체들의 솔루션 기술 첨단화를 위해 다양한 습식 웨이퍼 공정용 제품군을 발표했다. 고객의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ACM의 첨단 습식 웨이퍼 공정용 제품은 Cu 필라, Au 범핑, TSV, 팬아웃(Fan-out)과 같은 최신의 반도체 패키징 공정을 지원하며 코팅, 현상, 도금, 평탄화, 포토레지스트 스트립과 에칭과 같은 반도체 공정 전반에 걸쳐 활용이 가능하다.

  • 로옴, 차량용 DC/DC 컨버터 'BD9P 시리즈' 양산

    2020.10.27by 명세환 기자

    로옴(ROHM)은 오토모티브용 프라이머리 DC/DC 컨버터 「BD9P 시리즈」 총 12기종을 개발했다. 「BD9P 시리즈」는 독자적인 첨단 전원 기술 ‘Nano Pulse ControlTM’과 새로운 제어 방식을 채용해 고속 응답과 고효율을 동시에 실현했다. 전원 IC는 고부하 시 전력 변환 효율 92%를 달성하였으며, 경부하 시 전력 변환 효율은 85%를 달성했다.

  • 접히는 차세대 퀀텀닷 소재, '그래핀'의 재발견!

    2020.10.27by 김동우 기자

    UNIST 신현석 교수팀은 그래핀과 ‘화이트 그래핀’으로 불리는 육방정계 질화붕소 경계면에서 청색 발광 현상을 최초로 발견했다. 더불어 ‘그래핀 퀀텀닷’을 이용한 유연 발광소자 제작에도 성공해 그래핀이 새로운 디스플레이 광원으로서의 잠재력을 보여줬다.

  • [인터뷰] "고기능 소형 전장품 설계, SBC 활용이 방안"

    2020.10.27by 이수민 기자

    최근 차량에는 다양한 역할을 하는 수많은 전자부품이 탑재된다. 차량용 애플리케이션 제조사는 자사의 제품이 자동차 안이라는 전력과 공간이 한정적인 곳에서 타 제품에 영향을 주거나 혹은 받지 않으면서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시스템 기반 칩(SBC)은 전원, 통신, 관리 등의 역할을 하는 각각의 IC들을 하나의 IC로 통합하여 구현한 것으로 이를 활용하면 PCB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