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0.15by 강정규 기자
안리쓰코퍼레이션은 신호 품질 분석기-R MP1900A PCI Express1 RX에 강화된 기능을 출시했다고 14일 밝혔다. 신호 품질 분석기-R MP1900A 시리즈는 PCI Express 4.0/5.0, USB3.2/4, Thunderbolt 등과 같은 고속버스 인터페이스와 400 및 800GbE와 같은 차세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계 및 검사하는 데 필요한 멀티채널 비트 오류율(BER) 측정 기기이다. 이번에 강화된 분석기 기능은 PAM4 PPG MU196020A의 고품질 웨이브폼 성능을 PCIe RX테스트를 위한 최신 고속, 대용량 PCI Express 표준으로 업그레이드이다. 그 결과 데이터 센터 및 기타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PCIe Gen 6(PAM4 32 Gbaud) 제품을 계획하고 개발하는 ..
2020.10.15by 이수민 기자
데이터와 AI를 소재 연구에 접목하여 실험과 이론에 의한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고 신소재 개발 기간을 단축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과기정통부는 소·부·장 경쟁력강화위원회를 열고 데이터 기반 소재연구 혁신허브 구축 및 활용방안을 확정하고 본격 추진한다 밝혔다.
2020.10.15by 명세환 기자
드라이브트레인의 전기화와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도입이 가속화되면서 자동차 편의 기능과 차체 제어 기능의 수와 복잡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Traveo II Body 마이크로컨트롤러 제품군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 제품군은 차체 제어 모듈, 도어, 윈도, 선루프, 좌석 제어 유닛뿐 아니라 차내 스마트폰 단자와 무선 충전 유닛을 포함한 다양한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2020.10.15by 김동우 기자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는 크리에이티브 전문가나 사무직 직원들의 업무생산성을 높이고 보다 편안한 작업을 지원하는 모니터 신제품 5종과 새로운 팀 협업 솔루션을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한 신제품은 5종으로 △울트라샤프 32 HDR 프리미어컬러 모니터 ‘UP3221Q’ △울트라샤프 24 USB-C 허브모니터 ‘U2421E’ △델 울트라샤프 34 커브드 USB-C 허브 모니터 ‘U3421WE’ 및 새로운 P 시리즈 모니터 △‘P2721Q’ △‘P3421W’이다.
2020.10.15by 이수민 기자
오늘날 변전소 컴퓨터는 혹독한 환경조건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외부와 교환해야 한다. 모싸는 DA-820C IEC 61850-3 컴퓨터 시리즈를 출시했다. 7세대 인텔 제온 및 코어 프로세서 기반에, PRP/HSR, IRIG-B, 시리얼 및 기가비트 이더넷 광 SFP 연결을 지원하는 팬리스 19인치, 3U 랙마운트 컴퓨터다.
2020.10.15by 명세환 기자
앤시스코리아와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AICT)이 경기도자율주행센터에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자율주행분야의 공동연구와 함께 자율주행 기술표준 검증을 위한 툴체인 개발, 관련 중소벤처기업들에게 글로벌 표준에 맞는 개발 환경 제공을 위해 체결됐다. 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상호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구성해 자율주행분야의 공동연구와 중소벤처기업의 자율주행 기술검증 분류 및 개발 프로세스를 공동으로 개발하고 지원한다. 또한 자율주행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통합 개발을 위한 환경과 기술을 지원하고, 자율주행 기술표준 검증을 위한 툴체인 개발 및 자율주행차 운행 시나리오 검증, 자율주행 센서 시뮬레이션 등에 대한 기술도 교류한다.
2020.10.14by 김동우 기자
텍사스 인스트루먼트가 세계 최초로 1.7km 단일 연선으로 10Mbps 이더넷 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더넷 PHY를 발표했다. 새로운 DP83TD510E는 케이블 도달 거리가 IEEE 802.3cg 10BASE-T1L 싱글 페어 이더넷 사양의 도달 거리 조건인 200m보다 1.5km 더 길다.
2020.10.14by 김동우 기자
다쏘시스템은 스웨덴 통신장비업체 에릭슨 전사에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도입한다. 3D익스피리언스는 직책마다 각기 다른 맞춤형 패키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해 여러명이 3D프로젝트에 효과적으로 작업이 가능한 플렛폼이다.
2020.10.14by 이수민 기자
초소형 고성능 전자부품 수요가 늘면서 페라이트가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LG이노텍이 전력 손실이 적고 효율이 높은 페라이트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페라이트는 산화철이 주원료인 자성 소재로, 분말 형태의 페라이트 가루를 타일 모양으로 굳혀 사용한다. 주로 전압을 바꾸거나 전류 파동으로 발생하는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는 데 쓰인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