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Infineon 0617
Dabo_Webinar

전체기사 8,426건

  • ​삼성전자, 저조도 인식률 높인 차량용 이미지센서 출시

    삼성전자가 차량용 이미지센서, 아이소셀 오토 4AC를 출시하며 모바일에서 차량용까지 이미지센서 제품군을 본격 확대한다고 밝혔다. 아이소셀 오토 4AC는 픽셀 120만 개를 1/3.7인치 옵티컬 포맷에 탑재한 제품으로, 차 안에서 외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서라운드 뷰 모니..

    2021.07.15by 명세환 기자

  • ST, BLE 애플리케이션 개발 가속하는 무료 IDE 배포

    ST마이크로가 최신 블루투스 기술을 활용하는 스마트 커넥티드 장치의 설계를 가속하기 위해 무료 IDE, 와이즈 스튜디오(WiSE Studio)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개발자는 와이즈 스튜디오를 이용해 ST BlueNRG-LP SoC 같은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저전력 블루..

    2021.07.14by 강정규 기자

  • 반도체 장비시장, 2022년 "1천억 달러" 초호황 전망

    2022년 반도체 장비 매출액이 역대 최대치인 1천억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칩 메이커의 꾸준한 투자가 전공정 및 후공정 반도체 장비 산업의 성장을 가속하고 있다. 특히 올해 우리나라는 메모리 시장 회복과 파운드리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를 바탕으로 1위 투자국이 될 전망..

    2021.07.14by 이수민 기자

  • 유블럭스, 'AEC-Q104 등급' 위치 추적 모듈 출시

    유블럭스는 14일, 동작 온도 범위가 최대 105°C에 달하는 AEC-Q104 등급 위치 추적 NEO-M9L 모듈을 출시했다. 새로운 모듈과 M9140-KA-DR 칩은 유블럭스 M9 GNSS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며, 위성 신호가 손상되거나 사용할 수 없을 때에는 추측 ..

    2021.07.14by 명세환 기자

  • 뭐든지 만드는 비야디, IDM 도약 노린다

    중국 반도체 기업들의 성장세가 빠르다. 하지만 대부분은 설계에 집중하는 팹리스다. 실제로 반도체, 반도체 장비, 반도체 소재 개발에 나서는 중국 기업의 수는 매우 적다. IDM이라 불릴만한 중국 반도체 기업은 더 적다. 차량용 반도체로 유명한 비야디 반도체는 중국에서 ..

    2021.07.14by 이수민 기자

  • SK하이닉스, EUV 공정 기반 10나노급 '1a' D램 양산

    SK하이닉스가 10나노급 1a 미세공정을 적용한 8Gbit LPDDR4 모바일 D램의 양산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1a는 1x, 1y, 1z 등을 이은 기술로, 제품은 하반기부터 공급된다. 또한, SK하이닉스 D램 중 최초로 EUV 공정으로 양산된다.

    2021.07.13by 이수민 기자

  • ​로옴, 650V SiC SBD 내장 '차량 등급' IGBT 개발

    인버터나 컨버터에 탑재되는 전력 반도체에 대한 요구사항이 다양해지며 SiC MOSFET, SiC SBD 등 초저손실 SiC 전력 제품과 IGBT, SJ-MOSFET 등 기존 Si 전력 제품에서 기술 혁신이 추진되고 있다. 이에 로옴은 전기차 OBC, DC/DC 컨버터,..

    2021.07.09by 이수민 기자

  • ST, '소비자·자동차 Qi 충전기' 정품 인증 소자 제공

    무선충전기는 고출력 고속충전 시 제품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Qi 로고는 WPC-Qi 규격에 따라 인증이 완료된 제품에 부여된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7일, Qi 충전기의 정품 인증을 지원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WPC-Qi 규격 1.3 버전을 준수하..

    2021.07.08by 강정규 기자

  • 맥심, 부스트 컨버터 통합한 車 LED 드라이버 발표

    자동차의 디스플레이 개수와 크기, 해상도가 지속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밝기를 언제나 같게 유지하는 것은 전력 전달 시스템에 부담을 준다. 이에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부스트 컨버터를 통합한 저전압 입력 4채널 차량용 LED 백라이트 드라이버인 MAX2..

    2021.07.08by 명세환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