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Infineon 0617
murata crystal event

전체기사 8,440건

  • 전력 측정 시스템, 정확도 스스로 보정하는 IC 필요하다

    전력 소비가 날로 증가함에 따라 전기세와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전력 측정 솔루션이 주목받고 있다. 기기와 설비가 얼마만큼의 전력을 소비하고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해당 제품을 사용하는 개인과 기관의 재무 관리에 도움 된다. 또한, 전력 소비량만 산출하는 것..

    2021.02.17by 이수민 기자

  • 공정 제어용 아날로그 출력 모듈의 최적화 방안은?

    산업 현장에서 압력, 온도, 유량 같은 공정 파라미터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액추에이터 제어가 필요하다. PLC, DCS 같은 정밀 아날로그 출력 모듈을 사용하면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전압 및 전류 출력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아날로그 출력 모듈은 열..

    2021.02.17by 이수민 기자

  • 힐셔, 산업용 모터 실시간 제어하는 통신 솔루션 출시

    힐셔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공장 및 공정 제어 시스템과 조립, 패키징, 로보틱스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모터 제어 기능을 갖춘 펌웨어 구성 통신 솔루션인 넷모션을 출시했다. 개발자는 넷모션을 통해 실시간 이더넷 연결과 범용 모터 및 모션 제어 기능을 단일 칩 솔루션으로..

    2021.02.16by 이수민 기자

  • 대용량 리튬이온 배터리의 고속충전 구현 가능해져

    대용량 리튬이온 배터리 개발의 난제인 전극 소재의 불안정성을 해결하는 배터리 전해액 첨가제를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최남순, 곽상규 교수, 화학과 홍성유 교수로 구성된 연구팀이 개발했다. 개발된 첨가제 2종은 실리콘 기반 음극의 부피 팽창에 의한 열화를 막고, 불산..

    2021.02.16by 이수민 기자

  • 유나이티드SiC, 온저항 낮춘 750V SiC FET 4종 출시

    유나이티드SiC가 4세대 SiC FET 기술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750V SiC FET 4종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18mΩ 및 60mΩ 옵션으로 이용이 가능한 SiC FET 신제품 4종은 단위 면적당 온저항 감소와 낮은 고유 커패시턴스로 높은 FoM을 제공한다.

    2021.02.12by 강정규 기자

  • 자일링스-후지쯔, 美 6GHz 5G 인프라 구축 협력한다

    자일링스가 후지쯔의 5G O-RU에 울트라스케일+ FPGA 기술을 제공한다. 후지쯔 O-RU는 미국 최초의 O-RAN 호환 5G 그린필드(6GHz 비면허 대역) 네트워크에 구축될 예정이다. 현재 후지쯔는 추가 현장 구축에 대비하여 자일링스 RFSoC 기술에 대한 평가를..

    2021.02.08by 이수민 기자

  • [인터뷰] 애플, 컴퓨터 산업계 Arm 혁명 도화선 당겼다

    애플은 지난해 12월, 첫 Arm 코어 기반 맥 전용 SoC, M1 칩을 공개했다. Arm은 저전력, x86은 고성능이라는 전제를 무너뜨린 애플은 향후 2년간 모든 자사 컴퓨터를 Arm 아키텍처 기반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이에 CPU 시장 양대 축인 인텔과 AMD, 스..

    2021.02.08by 이수민 기자

  • ADI, IEPE 센서 호환 CbM 개발 플랫폼 'CN0549' 공개

    ADI가 상태 모니터링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의 개발을 가속하도록 고안한 새로운 상태 기반 모니터링(CbM) 개발 플랫폼, ‘CN0549’을 발표했다. CN0549를 활용하면 실시간 진동 데이터 처리가 가능해 예방 정비 서비스를 위한 머신러닝 알고리즘 개발 속..

    2021.02.06by 강정규 기자

  • 도시바, 산업 장비용 100V DIP4 고전류 광계전기 양산

    도시바가 TLP241B 고전류 광계전기의 샘플 출하와 양산에 돌입했다. 신제품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I/O 인터페이스 등의 산업 장비, 냉난방 공조 설비, 온도 조절 장치 등의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 적합하다.

    2021.02.06by 강정규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