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chip _ Nov 25
반도체
1127 Digikey
1125 ROHM

전체기사 8,673건

  • LG이노텍, 초박형 전력 부품 소재용 페라이트 공개

    초소형 고성능 전자부품 수요가 늘면서 페라이트가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LG이노텍이 전력 손실이 적고 효율이 높은 페라이트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페라이트는 산화철이 주원료인 자성 소재로, 분말 형태의 페라이트 가루를 타일 모양으로 굳혀 사용한다. 주로..

    2020.10.14by 이수민 기자

  • 맥심, MCU 1개로 차량 USB PD 허브 구현하는 IC 출시

    차량에 내장된 USB PD 충전기 개수가 늘어나며 뒷좌석의 엔터테인먼트 모듈과 헤드 유닛 등 차량용 멀티미디어 허브 기능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그만큼 크기와 비용, 전력에 대한 관련 설계자들의 부담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100W USB ..

    2020.10.14by 명세환 기자

  •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성장세로... 코로나19 영향

    코로나19로 비대면 디지털 경제가 가속되며 반도체 수요가 늘면서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감소세에서 성장세로 돌아섰고 이 추세가 한동안 이어질 전망이다. SEMI 2020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전년 대비 약 2.4%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2021년에..

    2020.10.14by 이수민 기자

  • AI 반도체로 2030년 종합 반도체 강국 도약에 시동건다

    AI 반도체 강국 도약을 위한 발판이 마련된다. 정부가 시스템반도체 설계지원센터에서 제13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고 AI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AI 반도체 시장은 지배적 강자가 없는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정부는 세계 최고의 메모리반도체 제조 역량..

    2020.10.13by 이수민 기자

  • 청색광과 경제성 해결한 ‘PeLED’ 개발 성공

    UNIST 송명훈·곽상규 교수팀과 고려대학교 우한영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청색광을 발산하는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Perovskite LEDs, 이하 PeLED)’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는 청색광을 만드는 효율이 기존 대비 3배..

    2020.10.13by 김동우 기자

  • 마우저, 최신 '무선 Gecko 시리즈2' 모듈 출시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실리콘랩스(Silicon Labs)의 BGM220P/BGM220S Bluetooth® 모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BGM220 모듈은 휴대용 의료, 커넥티드 홈, 웰빙 기기, 비콘 등 애플리케이션의 무선 네트워킹을 위한 사전 인증된 Bluetoot..

    2020.10.13by 김동우 기자

  • 마이크로칩, IIoT 보안성 높이는 Wi-Fi MCU 모듈 선봬

    IoT의 영향력이 가정에서 산업으로 확장되며 통합성과 신뢰성이 높은 안전한 IIoT 연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이 클라우드와 안전하게 연결되려면 하드 코딩되고 검증 가능하며 신뢰할 수 있는 ID를 갖춘 디바이스가 필요하다. 마이크..

    2020.10.13by 이수민 기자

  • ST, 풍부한 그래픽과 AI, 보안 갖춘 '저비용' MCU 출시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는 임베디드 플래시 기반의 ‘STM32’ 마이크로컨트롤러(MCU)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STM32H7 MCU는 Arm® Cortex®-M7 코어를 기반으로 구현되었으며,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

    2020.10.13by 김동우 기자

  • [인터뷰] "전기차 주행거리 확장, 안전한 BMS IC 필요"

    배터리는 전기차의 핵심 부품으로, 전기차 종류에 따라서 보조적이냐 중심적이냐의 차이가 있을 뿐, 동력원으로서 기능한다. 전기차가 배터리를 얼마나 잘 활용하는가에 따라서 주행가능거리가 길어질 수도, 짧아질 수도 있다. ST 코리아의 김진우 대리를 만나 효율적인 전기차용 ..

    2020.10.12by 이수민 기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