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murata crystal event
Infineon 0617

전체기사 8,446건

  • 삼성전자, 8K 디스플레이 서밋에서 8K 로드맵 제시

    삼성전자가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 8K 디스플레이 서밋 행사를 개최하고 8K 대세화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이 행사에서 8K 최신 기술 트렌드와 로드맵을 제시했다. 삼성전자와 미국의 리서치 전문 기관 인사이트 미디어가 공동 주최한 이번 행사에는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업체,..

    2019.06.12by 이수민 기자

  • 전 세계 팹 장비 투자액, 올해 줄지만 내년엔 늘어

    SEMI의 최신 세계 팹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의 전 세계 팹 장비 투자액은 전년대비 19% 하락하여 484억 달러로 예상되며 2020년은 약 20% 상승하여 584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초에 SEMI가 발표한 2019년 팹 장비 투자액 성장률..

    2019.06.12by 이수민 기자

  • ADI, 멀티채널 혼성신호 RF 컨버터 플랫폼 출시

    아나로그디바이스가 4G LTE, 5G mmWave와 같은 다양한 무선 장비용 고성능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 처리 기능을 통합한 MxFE RF 데이터 컨버터 플랫폼을 출시했다. 무선 장비 제조사들은 ADI의 AD9081/2 MxFE 플랫폼을 통해 다중대역 RF를 단일대..

    2019.06.11by 이수민 기자

  •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MRAM의 속도와 용량 획기적으로 늘릴 가능성 발견

    서강대학교 정명화 교수 연구팀은 자성물질 사이에 숨겨진 자기적 상호작용을 규명함으로써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인 자성 메모리(MRAM)의 속도와 저장용량을 한 단계 더 발전시켜줄 가능성을 입증했다. 전류를 기반으로 하는 기존 메모리와 달리, MRAM은 전자의 스핀에 의한 ..

    2019.06.10by 이수민 기자

  • 인피니언, CoolSiC 쇼트키 1200V G5 다이오드 출시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TO247-2 패키지로 제공되는 CoolSiC 쇼트키 1200V G5 다이오드를 출시했다. 신제품은 기존 실리콘 다이오드를 CoolSiC 다이오드로 교체하여 더욱 높은 효율을 달성했다. 8.7mm로 늘어난 연면거리와 공간거리는 오염이 심한 환경에..

    2019.06.10by 이수민 기자

  • 빛의 속도로 동작하는 AI 소자 개발됐다

    서울대학교 박남규 교수, 유선규 박사, 박현희 박사 연구팀이 고속 연산 AI 구현을 위해, 두뇌의 기본 단위인 뉴런의 동작을 빛의 흐름으로 모사하는 데 성공했다. 최근 반도체 전자회로의 나노 공정이 수 나노미터로까지 미세화됨에 따라 발열과 속도의 한계는 반도체 소자의 ..

    2019.06.08by 이수민 기자

  • ​마우저, 맥심의 포터블 제품용 스위치 모드 강압 충전장치 MAX77860 공급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맥심의 스위치 모드 강압 충전장치 MAX77860을 공급한다. 고성능, 넓은 입력 전압 범위, USB 타입-C CC 감지 기능이 결합된 MAX77860은 단일 셀 리튬이온 또는 리튬 폴리머 애플리케이션용 USB 타입-C 충전, 휴대용 의료장비, 휴..

    2019.06.07by 이수민 기자

  • 텔레다인 르크로이, 고속 인터커넥트 분석기 선봬

    텔레다인 르크로이가 인터커넥트 테스트 및 검증을 위한 솔루션인 고속 인터커넥트 분석기 웨이브펄서 40iX를 선보였다. 웨이브펄서 40iX는 고속 하드웨어 설계자와 테스트 엔지니어가 PCI 익스프레스, HDMI, USB, SAS, SATA, 파이버 채널, 인피니밴드, 기..

    2019.06.06by 이수민 기자

  • ​ADI, mmWave 5G 네트워크 인프라 지원 솔루션 출시

    아나로그디바이스가 mmWave 5G 무선 네트워크 인프라를 위한 솔루션을 출시했다. 차세대 셀룰러 네트워크 인프라의 설계 요구사항과 복잡성을 완화할 수 있도록 높은 통합 수준을 달성한 이 솔루션은 ADI의 첨단 빔포머 IC와 업/다운 주파수 변환, 그리고 추가적인 혼성..

    2019.06.04by 이수민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