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murata crystal event
Murata 0605

전체기사 8,446건

  • 인피니언, 차세대 CPU/GPU/FPGA/ASIC용 16위상 1000A 전압 레귤레이터 출시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16위상 디지털 PWM 다중위상 컨트롤러 XDPE132G5C를 고전류 시스템 칩셋 솔루션에 추가했다. 인피니언 고전류 시스템 칩셋 솔루션은 하이엔드 AI 서버 및 5G 데이터콤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차세대 CPU, GPU, FPGA 및 ASIC..

    2019.04.04by 이수민 기자

  • 맥심, DC-DC 벅 레귤레이터와 서지 보호 기능 통합한 듀얼 IO-링크 트랜시버 출시

    맥심이 DC-DC 벅 레귤레이터와 서지 보호 기능이 통합된 듀얼-IO 링크 디바이스 트랜시버 ‘MAX22513’을 출시했다고 3일 밝혔다. MAX22513은 산업용 IO-링크 센서 및 엑츄에이터 기기에 적합하여 스마트한 디지털 팩토리를 구현한다. DC-DC 레귤레이터와..

    2019.04.03by 이수민 기자

  • ​마우저, TI 저전력 연산 증폭기 'TLV9052' 공급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의 연산 증폭기 TLV9052를 공급한다. TLV9052는 높은 슬루율과 낮은 대기 전류 특성을 갖춘 이중 연산 증폭기로, 배터리 전원식 모터를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대형 가전, 광다이오드 증폭기, 센서 신호 조절기, ..

    2019.04.02by 이수민 기자

  • ST, 소프트 스위칭에 최적화된 IGBT 출시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소프트 스위칭 회로의 스위칭 성능과 최상의 전도성으로 최적화된 650V STPOWER IGBT STGWA40IH65DF와 STGWA50IH65DF를 출시했다. 이 제품들은 16kHz ~ 60kHz의 스위칭 주파수 범위에서 공진형 컨버터의 에너지..

    2019.03.29by 이수민 기자

  • 맥심, 차량용 카메라 모듈에 날개 달아줄 4채널 PMIC ‘MAX20049’ 출시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은 크기 제약 때문에 소형 폼팩터에 필요한 전력과 기능을 집적한 전력 솔루션이 필요하다. 이에 맥심은 전력 장치 4개를 작은 공간에 집적한 초소형 오토모티브 4채널 PMIC MAX20049를 출시했다. 새 제품은 시장의 평균적인 제품 대비 약 30%..

    2019.03.27by 이수민 기자

  • 인피니언, 인텔 SVID·PMBus 지원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출시

    인피니언 IR38x6x 제품군은 완전한 SVID 호환성 또는 3비트 PVID 유연성을 제공하므로 인텔 시스템의 인텔 CPU 및 칩셋 POL 레일을 쉽게 설계하고 지원하도록 한다. 또 일부 제품은 텔레콤 기지국, 네트워크, 스토리지 SSD 같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제어, 텔..

    2019.03.26by 이수민 기자

  • 삼성전자, 세계 최초로 '3세대 10나노급 D램' 개발

    삼성전자가 2세대 10나노급(1y) D램을 양산한지 16개월 만에 3세대 10나노급(1z) 8Gb DDR4 D램을 개발했다. 3세대 10나노급(1z) D램은 초고가의 EUV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기존 10나노급(1y) D램보다 생산성을 20% 이상 향상시켰고, 속도 ..

    2019.03.21by 이수민 기자

  • 삼성전자, 12GB 모바일 D램 양산 들어가 "프리미엄 모바일 시장에 단비될 것"

    삼성전자가 12GB LPDDR4X 모바일 D램의 양산을 발표했다. 12GB LPDDR4X 모바일 D램은 2세대 1y나노 16Gb 칩을 6개 탑재한 제품이다. 기존 8GB 모바일 D램 보다 용량을 1.5배 높여 역대 최대 용량을 구현했다. 이로써 일반적인 울트라 슬림 노..

    2019.03.20by 이수민 기자

  • 맥심, '호스트 컨트롤러' 필요없는 "USB-C" 3A 스위치 모드 벅 충전기 출시

    맥심이 설계와 소프트웨어 개발을 간소화하는 3A 스위치 모드 충전기 MAX77860을 출시했다. 리튬 이온 배터리로 작동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설계자는 MAX77860을 활용해 USB 타입 C(USB-C) 충전 시스템을 자사 제품에 보다 간단하고 유연하게 추가할 수 있다..

    2019.03.20by 이수민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