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 5월 배너
반도체
Murata 0605
Dabo_Webinar

전체기사 8,452건

  • 삼성전자, TV 액세서리 디자인 공모전 연다

    삼성전자가 TV 업계에서는 처음으로 TV 액세서리에 대한 디자인 공모전인 ‘QLED TV 스탠드 디자인 공모전’을 열고 TV 액세서리 시장 활성화를 위해 나선다. 7월 28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공모전은 TV 스탠드 디자인의 새로운 아이디어를 담은 렌더링과 3D ..

    2017.06.20by 김지혜 기자

  • ADI, 컴팩트한 풋프린트에 적합한 스텝다운 레귤레이터 발표

    아나로그 디바이스는 750mA, 42V 입력의 동기식 스텝다운 스위칭 레귤레이터 신제품 LT8607을 출시했다. 신제품의 독창적인 동기식 정류 토폴로지는 2MHz의 스위칭 주파수에서 93%의 변환 효율을 제공할 뿐 아니라, 설계자가 매우 컴팩트한 풋프린트의 솔루..

    2017.06.20by 김지혜 기자

  • 맥심, 전력 손실 줄이고 공장 자동화 지원하는 트랜시버 발표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듀얼 채널 IO-링크 마스터 트랜시버 ‘MAX14819’를 출시했다. MAX14819는 전력 손실을 50%까지 줄여 인더스트리 4.0 애플리케이션의 통신을 지원한다. 맥심의 첨단 공장 자동화 포트폴리오는 기업의 인더스트리 4.0 경쟁..

    2017.06.20by 김지혜 기자

  • 삼성전자, 일상을 갤러리로 만드는 ‘더프레임’ TV 출시

    삼성전자가 QLED TV에 이어 라이프스타일 TV의 정수를 보여주는 ‘더 프레임(The Frame)’을 한국 시장에 출시했다. ‘더 프레임’은 꺼져 있을 때에도 그림·사진 등의 예술 작품을 보여주는 ‘아트 모드’와 어떤 설치 공간과도 완벽한 조화를 이루는 ‘프레..

    2017.06.20by 김지혜 기자

  • 유블럭스, ADAS 가능하게 하는 V2X 모듈 탑재

    ?VERA-P1 모듈은 IEEE 802.11p 표준을 준수하는 유블럭스의 전장용 트랜스시버 모듈 시리즈의 최신 버전으로 자율 주행 경험을 제공할 차세대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유블럭스의 근거리 무선 기술 관련 제품 전..

    2017.06.19by 김지혜 기자

  • [인터뷰] STM32 10주년, 개발자들이 이 MCU를 계속 찾은 이유는 뭘까

    32비트 마이크로컨트롤러(MCU) STM32가 10년을 맞았다. 특정 제품군이 오래도록 사랑받은 경우는 적지 않지만, 매년 달라지는 트렌드와 개발환경에 따라 개발자에게 선택 받은 경우는 흔하지 않다. 흔한 말로 ‘한번 쓰고, 두 번 쓰고 자꾸만 쓰고 싶은’ MCU로 지..

    2017.06.19by 김자영 기자

  • [포토뉴스] 삼성전자, 카자흐스탄 2017 아스타나 엑스포에 QLED 체험관 열어

    삼성전자가 현지시간 15일 카자흐스탄의 수도 아스타나에서 열리고 있는 '2017 아스타나 엑스포'에 브랜드 전시관을 개관하고, QLED TV의 화질을 소개하는 등 중앙아시아 시장 공략에 나섰다. '2017 아스타나 엑스포' 기업관에 전시장을 마련한 삼성전자는 Q..

    2017.06.19by 김자영 기자

  • 시스템반도체 업계, 경쟁력 강화 위해 기업과 대학의 긴밀한 협력 필요

    산업통상부 주최, 시스템반도체 산학협력 포럼 개최 팹리스 재육성, 기업과 대학이 나서야 4차 산업혁명 시대 시스템반도체의 역할과 인력을 양성할지에 대해 논의할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가 주관하는 ‘제3회 시스템반도체 산학협력 포..

    2017.06.16by 김지혜 기자

  • 유블럭스, 오토모티브 텔레매틱스 모듈 출시 발표

    유블럭스는 TOBY-L4 시리즈의 오토모티브 그레이드(전장급) 텔레매틱스 모듈의 출시를 발표했다. 이 시리즈는 LTE, UMTS 및 GSM 연결 기능을 강력한 임베디드 프로세서에 통합하여, 하나의 기기에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연결성(Connectivity)은..

    2017.06.16by 김지혜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