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DABO ATV Lighting Event
murata

전체기사 636건

  • KT 양자암호통신 인터페이스 기술, TTA 표준 채택

    KT가 TTA에 제안한 이종 양자키 분배(QKD) 장치 간 상호 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관리 모델이 양자암호통신 관련 국내 표준안으로 최종 채택됐다. 해당 모델은 QKD 네트워크 장치 간 상호 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관리 모델은 양자암호 키를 분배하는 장치와 관..

    2021.01.26by 이수민 기자

  • 삼성전자, 5G 이동통신 장비 국제 보안 인증 CC 획득

    삼성전자가 5G 이동통신 장비에 대해 국제 공통평가기준(CC) 인증을 획득했다. CC 인증은 IT 제품의 보안성을 평가하는 ISO 15408 국제 기준으로, 세계 각국에서 관리하는 보안성 평가 기준 중 공통적인 평가 항목에 대한 충족 여부를 검증해 획득할 수 있다.

    2021.01.22by 이수민 기자

  • 2020년 '1.6조 원' 첫 삽 뜬 디지털 뉴딜, 진행 상항은?

    과기정통부는 관계부처 공동으로 추진하는 디지털 뉴딜 사업 중, 2020년 추진된 소관 사업들에 대한 진행 상황을 발표했다. 지난 7월, 한국판 뉴딜 계획 발표 이후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뉴딜에 약 1.6조 원을 투입하고 81개 사업을 추진했다. 국내 기업 및 기관 12,..

    2021.01.15by 이수민 기자

  • 인텔, '안티 스푸핑' 기능 탑재 '안면 인증 솔루션' 공개

    인텔은 8일, 안전하고 정확한 사용자 인식 안면 인증을 위한 온디바이스 솔루션, 인텔 리얼센스 ID를 공개했다. 등록 프로세스가 간편하고, 네트워크 설정이 필요 없는 인텔 리얼센스 ID는 전용 신경 네트워크와 SoC, 임베디드 보안 요소들을 액티브 뎁스 센서에 결합했다..

    2021.01.10by 이수민 기자

  • 팬데믹이 던져준 교훈, '조직의 운영 복원력' 확보해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재택/원격근무 활성화와 디지털화 가속으로 ICT 업계는 때아닌 호황과 기회를 맞이했다. 올해뿐만 아니라 내년에도 현재와 같은 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가트너가 조직의 운영 복원력에 중점을 둔 유망 전략기술들을 선정했다. 행동 인터..

    2020.12.28by 이수민 기자

  • 국내 첫 IoT 기기용 양자 보안 칩, 내년 상반기 상용화

    LG유플러스, LG CNS, 아이씨티케이 홀딩스, 이와이엘 등 4사가 국내 최초 IoT 단말용 양자 보안 칩(QPUF)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해당 칩은 양자 난수 생성기(QRNG)로 암호의 무작위성을 높여 순수 난수 생성기(TRNG)를 탑재한 제품보다 해킹 위협으..

    2020.12.27by 이수민 기자

  • ETRI, 해커 공격 차단하는 네트워크 변이 기술 완성

    그동안 사이버공격 방어는 방화벽이나 보안 장비를 통해 해커의 침입을 막는 탐지기술이 주를 이뤘다. ETRI가 개발한 네트워크 변이 기술은 해커가 공격대상을 선정하고 준비하는 동안 서버의 IP 주소와 서비스 포트 번호를 계속 바꿔가며 혼란을 가중해 공격할 시간을 놓치게 ..

    2020.12.23by 이수민 기자

  • 불법드론 실시간 추적하고 대응하는 '드론캅' 개발 추진

    380억 원이 투입되는 2021년도 과기정통부 무인이동체 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이 확정됐다. 내년 사업 규모는 올해 대비 41% 증가했다. 이 중 88억 원이 불법드론 대응기술 개발과 비가시권 장거리 비행 드론 통신기술 개발 등에 투자된다.

    2020.12.18by 명세환 기자

  • 내년도 사이버 위협, "제조, 의료, 클라우드" 집중된다

    SK인포섹 EQST 보안전문가 그룹이 2021년도 사이버 위협 전망 보고서를 공개하며 내년에 발생 가능성이 큰 5대 사이버 위협을 발표했다. 5대 위협은 제조 분야 산업 제어 시스템 공격, 방어 체계 우회 랜섬웨어 공격,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공격,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2020.12.09by 이수민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