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 5월 배너
AI
Dabo_Webinar
Infineon 0617

전체기사 1,733건

  • SK텔레콤, 5G 상용화 "D-2" 시점에서 임직원 마음가짐 다져

    SK텔레콤 박정호 사장이 12월 1일 5G 상용화를 앞두고 사내 게시판을 통해 “5G 시대를 열어가는 회사로서 엄중한 책임감을 갖고, 5G ? AI 융합 기반 대한민국 New ICT 혁신을 선도하자”라고 임직원들에게 당부했다. SK텔레콤은 단순한 5G 통신망 구축을 넘..

    2018.11.29by 이수민 기자

  • 삼성, 북미영상의학회서 AI 진단보조기능 청사진 제시

    AI 기반 진단기기는 인구 천 명당 의사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개발도상국 병원 또는 의료진을 지원하고 진단이 까다로운 병변의 오진율을 줄이기 위해 그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삼성전자와 삼성메디슨은 북미영상의학회 2018에 참가해 초음파, 디지털 엑스레이..

    2018.11.27by 이수민 기자

  • KT, 네트워크 장애 원인도 "AI로 찾는다"

    KT가 인공지능 기술로 통신 장애를 분석해 원인을 찾고 빠른 복구를 돕는 솔루션인 닥터로렌을 개발했다. 닥터로렌은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운용 빅데이터를 수집 후 인공지능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장애 근본 원인을 최대 1분 안에 규명하는 솔루션이다. KT 전문가들의 ..

    2018.11.24by 이수민 기자

  • 자일링스 징크 울트라스케일+ MPSoC, IEC 61508 사양 인증 획득

    자일링스가 기능 안전 인증 기관인 엑시다로부터 자사의 징크 울트라스케일+ MPSoC가 IEC 61508 기능 안전 사양에 따라 HFT1을 구현할 수 있는 SIL 3 레벨로 평가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평가를 통해 제품 개발자들은 자일링스의 다양한 기능의 고집적 단일 칩 ..

    2018.11.22by 이수민 기자

  • ​2019년 ICT 10대 이슈 "5G, 에지 컴퓨팅, RPA 등"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에서 2019 ICT 10대 이슈를 발표했다. 10대 이슈는 올해 7월부터 10월까지 총 1,088명의 ICT 업계 종사자들의 설문을 토대로 작성되었다. 이슈에는 5G, ICT 규제 개혁, 에지 컴퓨팅과 AI 반도체, 차세대 모빌리티, 블록체인, 자동..

    2018.11.21by 이수민 기자

  • [외신] IBM 원자기반의 신개념 메모리 기술 발표, 리눅스 재단 AI 오픈 소스 플랫폼 오픈

    [미국 주간 IT뉴스] [1] 리눅스재단, AI 오픈소스 플랫폼 ‘아큐모스’ 출시 [2] 구글 ‘픽셀3’ 카메라 기능 주목 [3] IBM, 메모리용 ‘구리 자성’ 개발중 [4] 윈도우10 1809버전 i클라우드 문제 논란 [5] 가트너 “올해 전세계 로봇 프로세스 자..

    2018.11.21by 류아연 외신

  • 2018년 전 세계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SW 지출 "57% 증가"

    가트너가 2018년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소프트웨어 지출 규모에 대한 전망을 발표했다. 가트너에 따르면, 2018년 RPA 소프트웨어 관련 전 세계 지출액은 작년보다 57% 증가한 6억 8천만 달러에 이를 전망이며, 이러한 성장세를 이어간다면 2022년에는 해당 규모가..

    2018.11.18by 이수민 기자

  • 삼성 미래기술 포럼, 중국서 개최 "바이두, 샤오미" 등 참여

    삼성전자가 중국 베이징에서 삼성 미래기술 포럼을 열고 새로운 IT 패러다임으로 부상한 AI 분야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선보이며 미래 부품사업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이번 행사는 삼성전자 DS부문 중국 총괄 주관으로 진행되는 첫 번째 AI 포럼으로 바이두, 샤오미, 하이크..

    2018.11.17by 이수민 기자

  • ​컴볼트, 데이터 보호 동향 및 효과적인 데이터 관리 전략 발표

    컴볼트가 데이터 보호 동향 및 효과적인 데이터 관리 전략을 소개했다. 컴볼트 회장 겸 CEO인 로버트 해머와 COO인 알 분테는 지난달 개최한 ‘컴볼트 GO 2018’에서 엔터프라이즈 백업 및 복구를 획기적으로 간소화하고 데이터 센터의 확장된 형태로 클라우드를 구현하는..

    2018.11.16by 이수민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