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 및 장비
murata
ST _ AI

전체기사 1,181건

  • “2025년 글로벌 반도체 장비 투자, 1,100억불 돌파”

    반도체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SEMI(국제 반도체 장비 재료 협회)의 최신 ‘World Fab Forecast’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전공정 반도체 제조 장비 지출은 전년 대비 2% 증가한 1,1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2025.03.27by 배종인 기자

  • 해외 의존도 높은 ‘공작기계’ 기술 독립 넘어 AI까지 탑재한다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대한민국 공작기계 분야 기술 자립과 첨단화를 추진할 ‘AI CNC 실증센터’ 개소식 행사를 25일 창원본원에서 개최했다. KERI는 실증센터를 기반으로 경남 창원산단에 위치한 공작기계 분야 기업들의 제품 성능을 검증하고, 이들 간 협업 및 연..

    2025.03.25by 배종인 기자

  • 기계연, ‘대용량 무필터 공기청정 기술’ 대형 시설 초미세먼지 저감 기여 컸다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 도시환경연구실 김학준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개발한 대용량 무필터 초미세먼지 저감 기술이 지하철을 시작으로 학교, 백화점 등 주요 공공시설에 도입되며 국민 생활환경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의 공기정화 성능과 경제성을 갖추어..

    2025.03.24by 배종인 기자

  • EV Group, 300㎜ MEMS 제조 기술 혁신 주도

    첨단 반도체 제조와 칩 통합 기술의 선도 기업 EV 그룹(EV Group, EVG)이 300㎜ 웨이퍼 제조를 위한 차세대 GEMINI® 자동화 웨이퍼 본딩 시스템을 발표하며, 대형 웨이퍼에서 제조되는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2025.03.19by 배종인 기자

  • 첨단소재 산업, 실증 연구로 새 지평

    한국재료연구원은 18일 창원시 진해구에서 ‘첨단소재 실증연구단지 1단계 조성 준공식’을 개최하며 첨단소재 산업 혁신의 새로운 시작을 알렸다.

    2025.03.19by 배종인 기자

  • 폭발 없이 1천㎞ 가는 배터리 만든다

    UNIST는 에너지화학공학과 이현욱 교수팀이 배터리 양극 신소재인 과리튬 소재의 산소 발생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해결할 소재 설계 원리를 제시하며, 향후 장거리 주행 배터리 개발이 가시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5.03.18by 배종인 기자

  • 기존 섬유 제조 공정으로 웨어러블 전자기기용 와이어 만든다

    한국전기연구원(KERI) 나노융합연구센터 한중탁 박사팀이 기존 섬유 제조 공정을 활용해 웨어러블(wearable) 전자기기를 위한 고성능 기능성 와이어 개발에 성공했다.

    2025.03.17by 배종인 기자

  • 텍트로닉스, 전기차·ESS·친환경 에너지용 정밀 계측 기술 선

    정밀 측정 솔루션의 선두주자인 한국텍트로닉스가 3월5일부터 7일까지 코엑스(COEX)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5(InterBattery 2025)’에 참가해 성공적으로 전시회를 마무리했다.

    2025.03.14by 배종인 기자

  • 플리어, 200미터 거리에서도 음향으로 가스 누출 식별

    ㈜플리어시스템코리아가 산업 환경의 가스 누출과 기계적 결함, 부분 방전(PD)을 감지하는 고급 음향 이미징 카메라인 FLIR Si2x 시리즈를 새롭게 출시했다.

    2025.03.10by 배종인 기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