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Software Defined Vehicle) 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핵심 협력사들과 함께 ‘Pleos SDV 스탠다드 포럼’을 개최하고, 소프트웨어 개발 생태계 구축에 나섰다.
.jpg)
▲Pleos SDV 스탠다드 포럼에서 현대차·기아 AVP 본부장 송창현 사장이 발표하는 모습
‘Pleos SDV 스탠다드 포럼’, 58개 협력사 엔지니어 참석
현대자동차그룹이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Software Defined Vehicle) 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핵심 협력사들과 함께 소프트웨어 개발 생태계 구축에 나섰다.
현대차그룹은 20일 경기도 판교에 위치한 소프트웨어드림센터에서 ‘Pleos SDV 스탠다드 포럼’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현대모비스, 현대케피코, 보쉬, 콘티넨탈, HL만도 등 국내외 주요 제어기 분야 협력사 58개사의 엔지니어들이 참석해 SDV 전환을 위한 기술 표준과 개발 체계를 공유했다.
SDV는 차량 출고 이후에도 지속적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기능 확장이 가능한 플랫폼으로, 기존 하드웨어 중심 차량과는 차별화된다.
현대차그룹은 SDV 양산을 위한 공급망 혁신과 업계 전반의 대응 역량 강화를 목표로, 소프트웨어 중심의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번 포럼은 송창현 현대차·기아 AVP 본부장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차량 개발 방식의 전환 △CODA 아키텍처 적용 △Pleos Vehicle OS 기반 개발 △Plug & Play 외부 디바이스 구조 △OEM-협력사 통합 개발 도구 체계 등 5개 세션으로 구성됐다.
특히 SDV 개발을 위한 표준화된 소프트웨어 개발 체계가 소개되며, 협력사들이 이를 자사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가이드가 제시됐다. 이 체계는 사양 정의부터 기능 검증, 개발 이슈 관리까지 전 과정을 포함하며, 보안을 유지한 채 실시간 데이터 연계가 가능하다.
표준화된 환경 도입은 각 협력사의 제어기 개발 역량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개발 효율성과 품질을 높이고, 기존 수직적 공급망을 수평적 협력 구조로 전환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포럼을 계기로 협력사들이 SDV 시대에 맞춘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정기적인 기술 공유를 통해 빠른 기술 전환을 도모할 계획이다.
송창현 본부장은 “SDV 구현을 위해서는 핵심 파트너 간 긴밀한 협력과 표준화된 개발 체계 확산이 필수”라며 “지속적인 기술 표준 배포를 통해 소프트웨어 중심의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e4ds news는 오는 9월9일 AI, 전력반도체, 자율주행과 SDV 혁신 기술을 다루는 ‘
2025 e4ds Tech Day’ 행사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서 자율주행과 SDV를 구현하는 중앙집중형 아키텍처, ADAS·V2X 통합, 품질·안전·보안을 확보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 솔루션을 탐구할 수 있다.